Data Security Posture Management

모든 환경의 민감정보 보호, DSPM

데이터 현황 모니터링이 어려운 이유

기업 및 기관에서는 서로 다른 플랫폼, 멀티 클라우드, 다양한 데이터 형식, 수많은 시스템과 사용자로 인해 오늘도 방대한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습니다. 조직의 보안 환경은 점점 복잡해지고,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는 모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려워졌습니다.  무엇보다, 어떤 저장소에 무슨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데이터 현황 모니터링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DSPM의 뜻, 정의, 의미

DSPM (Data Security Posture Management)는 조직의 데이터 보안 상태를 평가하고, 유지하며, 개선하는 종합적인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민감정보를 포함한 중요 데이터를 식별하고, 현재 보안 상태를 분석해 알맞은 보안 조치를 적용하자는 취지에서 등장했습니다. 많은 조직에서 겪고 있는 데이터 보안 및 현황 모니터링 이슈에 대응하는 데이터 보안 태세 관리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DSPM의 역할과 특장점

DSPM은 사내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 중요 데이터를 정확하게 찾고 분류합니다. 분산된 저장소에서 정형 · 비정형 데이터를 식별하고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의 위치를 파악해 데이터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도에 따라 권한을 통제하고 암호화 현황을 분석합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데이터 보안 상태와 관련 컴플라이언스 준수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보안 취약점을 신속하게 탐지 · 대응할 수 있습니다.

DSPM 전략이 주목 받는 이유

지금의 업무 환경은 On-premise, 멀티 클라우드, SaaS 등 다양한 저장소 및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오랜기간 유지된 망분리 정책이 공공기관은 다층보안체계(MLS, Multi Level Security)와 국가망보안체계(N²SF, National Network Security Framework)로, 금융권은 자율보안체계로 개편되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추적 및 관리되지 않는 민감정보의 식별, 분류, 추적, 태깅, 모니터링으로 세분화해 관리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등장한 것이 DSPM (Data Security Posture Management)입니다. 업무 데이터와 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구분해 각각의 조직과 데이터별로 세분화하는 보안 및 관리가 필수가 되면서 DSPM 전략이 차세대 제로 트러스트 데이터 보안 전략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점점 복잡해지는 조직의 데이터 환경에서 안정적인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잠재적인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DSPM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기존 데이터 보호 전략의 한계를 극복한 파수의 DSPM 솔루션을 통해 전반적인 데이터 보안 상태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컴플라이언스 대응 환경을 구축해보세요.

데이터 보안 가시성 및 인사이트 확보,
차세대 데이터 보호 전략의 핵심

중요 데이터 중심 프로세스

조직 내 중복되고 식별되지 않은 데이터를 추적, 관리합니다. 개인정보 등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생성 또는 수정 시, 발견하고 암호화해 유출 및 손실을 사전에 방지합니다.

국내외 개인정보 보호 규정 완벽 대응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는 패턴과 규정이 탑재돼 있으며, GDPR, HIPAA 등
다양한 컴플라이언스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산업 데이터를 고려한 맞춤형 보안

각각의 산업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파악하고 관리해, 다양한 산업군에서 잠재적인 보안 위험과
내부자 위협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Inquiry

DSPM 전문가

만나러 가기

FDI go

찾아가는 세미나

신청하기​

추가 문의사항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