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 보안 기업 ㈜스패로우의 SaaS형 애플리케이션 보안 취약점 분석 솔루션 ‘스패로우 클라우드(Sparrow Cloud)’가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등록됐습니다.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은 정부가 공공기관의 디지털서비스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중 하나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운영하며, 엄격한 심사를 통과한 서비스만 등록이 가능하다. 올해부터 공공 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이 본격화 되는 가운데, ㈜스패로우는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Sparrow Cloud’를 등록하며 기관의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강화에 앞장설 예정입니다.
Sparrow Cloud는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컴포넌트 분석을 통해 사용 중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식별하고 라이선스와 취약점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의 대응 방안으로 주목받는 소프트웨어 자재명세서(SBOM)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해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공급망 관리가 가능합니다.
공공기관 및 지자체의 정보보안 담당자는 Sparrow Cloud를 활용해 사용 중인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확인, 발생 가능한 법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별된 오픈소스 취약점 정보를 통해 안전한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어 보안 위협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SBOM은 공급자 이름, 구성요소 이름, 구성요소 버전 등을 포함해 SPDX, CycloneDX, SWID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자동 출력할 수 있습니다.
㈜스패로우 장일수 대표는 “최근「클라우드컴퓨팅법」개정으로 민간 클라우드 이용 노력 의무 대상이 공공기관에서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까지 확대돼 공공분야의 클라우드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며 “기관 및 지자체가 Sparrow Cloud를 활용해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